2008. 3. 3. 10:51
Character
현재 웹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한국어 코드 페이지로는 한국어(EUC)/한국어(ISO)/한국어 이렇게 세가지가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어(EUC)나 한국어(ISO)는 지원하는 한글의 수가 그냥 한국어(이것은 사실 KS_C_5601-1987)보다 적다.
예를 들어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쫒"이라는 글자나 "얖"이라는 글자를 한국어(EUC)로 인코딩하면, "쫒"이라는 글자는 쫒로 "얖"이라는 글자는 얖로 나오게 된다. 이는 DEXTUpload를 사용하지 않고 ASP의 Request로 그냥 읽어도 마찬가지이다. (HTML로 보여지는 웹브라우저 화면에는 글자가 제대로 나오지만 실제 소스보기를 해보면 위와 같은 값이 나온다.)
즉, 한국어(EUC)나 한국어(ISO) 코드 페이지를 사용하면 자주 쓰이지 않는 일부 한글문자들 이 웹에서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문자코드값으로 나오는데, 이는 이들 코드체계가 외국에서 만들어진 완성형문자체계이다보니 아무래도 지원하는 글자수가 적은 듯 하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한글코드체계인 한국어(KS_C_5601-1987)는 거의 대부분의 한글이 웹에서도 제대로 처리가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업로드 폼작성 HTML페이지에
예를 들어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쫒"이라는 글자나 "얖"이라는 글자를 한국어(EUC)로 인코딩하면, "쫒"이라는 글자는 쫒로 "얖"이라는 글자는 얖로 나오게 된다. 이는 DEXTUpload를 사용하지 않고 ASP의 Request로 그냥 읽어도 마찬가지이다. (HTML로 보여지는 웹브라우저 화면에는 글자가 제대로 나오지만 실제 소스보기를 해보면 위와 같은 값이 나온다.)
즉, 한국어(EUC)나 한국어(ISO) 코드 페이지를 사용하면 자주 쓰이지 않는 일부 한글문자들 이 웹에서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문자코드값으로 나오는데, 이는 이들 코드체계가 외국에서 만들어진 완성형문자체계이다보니 아무래도 지원하는 글자수가 적은 듯 하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한글코드체계인 한국어(KS_C_5601-1987)는 거의 대부분의 한글이 웹에서도 제대로 처리가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업로드 폼작성 HTML페이지에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대신
를 사용해 보면(업로드 처리 페이지는 어떤 코드체계를 갖건 상관없다.) 글자가 깨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이다.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ks_c_5601-1987">
를 사용해 보면(업로드 처리 페이지는 어떤 코드체계를 갖건 상관없다.) 글자가 깨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