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working 개념 스윽 훑어보기(계속) |
오늘은 서브네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이 좀 아픈 관계로 진도를 많이 나가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서브네팅은 IP의 백미로서 여러분이 앞으로 다룰 IP 주소들은 대부분 서브네팅된 것입니다.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서브네팅 할 수 있으셔야 합니다. |
(5) 서브네팅(Subnetting) 서브네팅이란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로 나눈다는 말입니다. 왜 네트워크를 나눌까요? 거기엔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서브네팅을 할 수 있을까요? 서브넷 마스크로 이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각 클래스에 관해 알아볼때,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길이가 긴 클래스일 수록 더 많은 네트워크가 있고, 각 네트워크당 호스트 수는 적어지는걸 보았습니다. C 클래스의 네트워크인 192.168.1.0/24를 가지고 서브네팅 해보겠습니다. 다음은 2진수로 표기한 것입니다. |
![]() |
이 상태에서 이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호스트의 수는 254개였죠? 2의 8승에서 2를 빼준겁니다. 이제 서브넷 마스크 비트를 한비트만 늘려보겠습니다. |
![]() |
한 비트가 증가해 25비트의 서브넷 마스크를 씌우자 이제 호스트의 갯수는 2의 7승개로 줄었습니다. 126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를 먼저 보다 반 이상 잃어버렸는데, 그렇다면 얻는 것도 있어야겠죠. 바로 네트워크가 하나에서 두개로 증가했습니다. 빨간색으로 안보이는 부분은 고정된 값이라고 했습니다. 24비트였던 위의 그림에서는 11000000.10101000.00000001까지만 변하지 않으면 되기 때문에, 다음 자리(25번째 비트)에 1이 오던 0이 오던 같은 네트워크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25비트로 서브넷 마스크가 늘어나자 11000000.10101000.00000001.0과 11000000.10101000.00000001.1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여기서 한 비트를 더 늘려 26비트 서브네팅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호스트 갯수는 2의 6승개에 2를 뺀 62개씩이며, 위의 두개로 나뉘어 졌던 네트워크는 다시 2개씩 나뉘어져 모두 4개가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서브넷 마스크 비트가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네트워크는 2배씩 증가하고, 반대로 호스트는 반으로 감소합니다. 3비트가 증가한다면? 네트워크는 8배 증가하고, 호스트는 8배 감소합니다. 위의 네트워크를 통해 과연 그런지 살펴볼까요? |
![]() |
마스크된 세 비트의 경우의 수는 다음의 8가지입니다. 172.16.99.99 255.255.192.0의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각각 무엇인가? B 클래스 네트워크를 서브네팅할 때, 각 네트워크 당 510개의 호스트 주소가 필요하다면 어떤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가? 그렇다면 31비트 서브네팅을 어떨까요? 31비트 서브네팅을 하게 되면 단지 두개의 IP 주소만 나옵니다. 그중 하나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다른 하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이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호스트 주소는 하나도 없습니다. 따라서 31비트 서브네팅은 하지 않습니다.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목이 좋아진다면 내일은 서브네팅의 반대 개념이 수퍼네팅에 관해 다루어볼 예정입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
Netguide CCNA 교육담당 배남이 |
※ 출처 : Netguide